윌리엄 헨리 브래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영국의 물리학자로, X선 분광기를 발명하고 아들 윌리엄 로렌스 브래그와 함께 X선 회절을 이용한 결정 구조 분석인 X선 결정학을 창시하여 191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리즈 대학교 캐번디시 물리학 교수, 왕립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전쟁 중 잠수함 탐지 기술 개발에 참여했다. 브래그는 과학 발전과 교육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다양한 명예와 상을 받았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다양한 기념물과 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리즈 대학교 교수 - 지그문트 바우만
폴란드 출신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은 반유대주의를 피해 폴란드를 떠난 후 영국 리즈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유동하는 근대' 이론을 발전시키고 근대성, 홀로코스트, 포스트모더니티, 소비주의 등 현대 사회의 주요 쟁점들을 다룬 저명한 학자이다. - 리즈 대학교 교수 - 스티븐 툴민
영국의 철학자, 작가, 교육자인 스티븐 툴민은 논증 분석을 위한 툴민 모델 개발, 절대주의와 상대주의 비판, 현대성에 대한 독자적인 시각 제시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연구는 윤리학, 과학철학, 수사학, 커뮤니케이션학 등에 영향을 미쳤다. - 결정학자 - 제니퍼 다우드나
제니퍼 다우드나는 1964년생 미국의 생화학자로, CRISPR-Cas9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에 기여하여 202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윤리적 문제 논의와 기술 상용화에도 기여한다. - 결정학자 - 로절린드 프랭클린
영국의 화학자이자 결정학자인 로절린드 프랭클린은 DNA, 석탄, 흑연, 바이러스 구조 연구에 기여했으며, 특히 DNA 구조를 밝히는 데 중요한 X선 회절 사진 "사진 51"을 촬영하여 왓슨과 크릭이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밝히는 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했지만, 사후에 공헌이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는 논란이 있다.
윌리엄 헨리 브래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경 (Sir) |
이름 | 윌리엄 헨리 브래그 |
출생일 | 1862년 7월 2일 |
출생지 | 잉글랜드 컴벌랜드주 위그턴 |
사망일 | 1942년 3월 12일 |
사망지 | 런던, 잉글랜드, 영국 |
국적 | 영국 |
종교 | 성공회 |
연구 분야 | |
분야 | 물리학 |
소속 및 학력 | |
근무 기관 | 애들레이드 대학교 리즈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영국 왕립 과학 연구소 |
출신 대학 | 케임브리지 대학교 |
지도 교수 | 조지프 존 톰슨 |
주요 제자 | 로렌스 브래그 캐슬린 론스데일 윌리엄 애스트버리 존 데스몬드 버널 존 버튼 클리랜드 |
업적 | |
주요 업적 | 엑스선 회절 엑스선 분광법 브래그 법칙 브래그 피크 브래그-그레이 공동 이론 브래그-폴 맥동기 |
수상 | |
수상 | 노벨 물리학상 (1915년) 바나드 공로 훈장 (1915년) 마테우치 메달 (1915년) 럼퍼드 메달 (1916년) 코플리 메달 (1930년) 패러데이 메달 (1936년) 존 J. 카티 과학 발전상 (1939년) |
참고 사항 | |
참고 사항 | 로렌스 브래그의 아버지이며, 부자가 함께 노벨상을 수상했다. |
2. 생애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어린 시절 어머니를 잃고 삼촌 밑에서 자랐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했다. 졸업 후 애들레이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물리학, 특히 전자기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고,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평생 우정을 쌓았다. X선 연구에 매진하여 X선 분광기를 발명하고 아들 윌리엄 로렌스 브래그와 함께 X선 결정학이라는 새로운 과학 분야를 개척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발명 및 연구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수중 청음기와 소나 개발에 기여했다. 종전 후 런던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와 왕립 연구소에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왕립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과학 발전에 힘썼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의 특별 수색 명단에 오르기도 했다.
1889년 찰스 토드 경의 딸 웬들린 토드와 결혼하여 1남 2녀를 두었으며, 아들 윌리엄 로렌스 브래그와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다른 아들 로버트는 갈리폴리 전투에서 전사했다. 라크로스를 호주에 소개하는 데 기여했으며,[32] 1942년 영국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1862년 영국 컴벌랜드주 위그턴 근처 웨스트워드에서 상선 장교이자 농부였던 아버지 로버트 존 브래그와 성직자의 딸이었던 어머니 메리 우드 사이에서 태어났다. 7세 때 어머니가 사망한 후 레스터셔주 마켓 하버러에서 삼촌 윌리엄 브래그에게 양육되었다. 그는 그곳의 로버트 스미스 아카데미(구 문법학교)와 맨섬의 킹 윌리엄 칼리지에서 교육받았고, 장학금을 받아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에 진학했다. 1884년 수학과 랭글러 시험에서 3등을 차지하며 졸업했고, 1885년에는 수학 트라이포스에서 1등급 우등을 받았다.[3][4][5]
2. 2. 애들레이드 대학교 (1886-1908)
1885년(23세)에 애들레이드 대학교에서 수학 및 실험물리학 교수직을 제안받았으며[41], 1886년 초부터 일하기 시작했다. 당시 브래그는 수학 실력은 뛰어났지만 물리학 지식은 부족하여, 응용수학과 관련하여 얻은 지식 정도밖에 없었다. 애들레이드에서 물리학을 수강하는 학생은 100명 정도에 불과했고, 이과대학에 소속된 학생은 그중 극소수였다. 브래그는 교육 설비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직접 기구 제작자에게 배우기도 했다. 그는 강사로서도 뛰어난 능력을 보여, 학생 자치회 결성을 촉진했고, 과학 분야 강사들에게도 무료로 자신의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했다.[39][40]브래그는 물리학, 특히 전자기학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895년, 어니스트 러더퍼드가 뉴질랜드에서 케임브리지로 가는 도중 브래그를 방문했고, 이후 두 사람은 평생 친구가 되었다. 1904년, 브래그는 뉴질랜드 더니든에 본부를 둔 오스트랄라시아 과학진흥협회(현 ANZAAS)의 A 부문 대표로 선출되어 기체 이온화 이론을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40] 이후 3년 동안 더 많은 연구 성과를 올려 왕립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다. 이 연구는 브래그의 첫 저서인 ''Studies in Radioactivity''(1912)의 기초가 되었다. 1904년, 브래그는 실험용 브롬화라듐을 입수하여 1904년 12월 ''Philosophical Magazine''지에 라듐 방사선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같은 해, 학생 리처드 클리먼과 공동으로 "On the Ionization Curves of Radium"(라듐의 이온화 곡선에 관하여)이라는 논문도 발표했다.[39][40]
1908년 말, 브래그는 잉글랜드로 돌아왔다. 그가 호주에서 23년간 생활하는 동안 애들레이드 대학교의 학생 수는 거의 4배로 증가했고, 브래그는 이과대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39]
2. 3. 리즈 대학교 (1909-1915)
브래그는 1909년부터 1915년까지 리즈 대학교(University of Leeds)에서 캐번디시 물리학 교수직을 맡았다. 그는 X선 연구를 계속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X선 분광기(X-ray spectrometer)를 발명했고, 당시 케임브리지에서 연구원이었던 아들 윌리엄 로렌스 브래그와 함께 X선 회절을 이용한 결정 구조 분석인 새로운 과학 분야인 X선 결정학(X-ray crystallography)을 창시했다.[20]2. 4.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후, 그의 두 아들 로렌스와 로버트는 모두 징집되었다.[21] 1915년,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런던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의 퀸 교수로 임명되었다.[4] 그는 전쟁에 기여하기 위해 거의 1년을 기다려야 했다. 마침내 1915년 7월, 해군성이 설립한 발명 및 연구 위원회에 임명되었다.[4] 같은 해 9월, 그의 막내아들 로버트는 갈리폴리에서 전투 중 부상으로 사망했다. 11월, 그는 장남 윌리엄 로렌스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당시 해군은 보이지 않는 잠수함(U-boat)에 의한 선박 침몰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과학자들은 잠수함의 소리를 듣는 것이 최선의 전술이라고 권고했다. 해군은 스코틀랜드 애버더어에 해군 장병들이 근무하는 수중 청음기 연구 시설을 두고 있었다. 1915년 11월, 두 명의 젊은 물리학자가 그곳 직원으로 추가되었다. 1916년 7월, 과학 기술을 활용하라는 외부 압력에 굴복한 해군성은 브래그를 애버더어의 과학 책임자로 임명했고, 세 명의 젊은 물리학자가 그를 보좌했다. 그들은 개선된 지향성 수중 청음기를 개발했고, 마침내 해군성은 그 유용성을 인정했다.
1916년 말, 브래그는 소규모 그룹과 함께 하리치로 이동했고, 그곳에서 직원이 확대되었으며 테스트를 위해 잠수함을 이용할 수 있었다. 전쟁 초부터 과학자들이 동원되었던 프랑스에서는 물리학자 폴 랑주뱅이 고주파로 진동하는 수정판으로 강력한 음파 펄스를 생성하고, 이를 마이크로폰으로 사용하여 메아리를 듣는 반향 위치 측정(Echolocation)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다. 1917년 말, 진공관이 사용 가능해지면서 희미한 신호를 증폭하여 수정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영국은 큰 결정 조각 대신 작은 수정 조각의 모자이크를 사용하여 소나를 실용화했다. 1918년 1월, 브래그는 해군성으로 이동하여 대잠 부서의 과학 연구 책임자가 되었다. 전쟁이 끝날 무렵 영국 선박에는 훈련된 청음 요원이 운용하는 소나가 장착되었다.
윌리엄 로렌스는 적군의 포 사격 소리로 적 포대 위치를 찾는 방법(포 사격 소리)에서 영감을 얻어, 해안선을 따라 수 마일 떨어진 여섯 개의 마이크 출력을 움직이는 사진 필름에 기록했다. 음향 측정은 난기류가 있는 대기보다 바다에서 훨씬 정확하다. 그들은 원거리 폭발 지점을 찾아낼 수 있었고, 이를 이용하여 영국 군함과 기뢰밭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낼 수 있었다.
2. 5. 런던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1919-1923)
전쟁 후, 브래그는 런던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로 돌아와 결정 분석 연구를 계속했다.[4][39]2. 6. 왕립 연구소 (1923-1942)
1923년부터 왕립 연구소의 풀러리안 화학 교수이자 데이비 패러데이 연구소 소장이었다.[22] 1929년부터 1930년 사이에 연구소가 재건되었고, 브래그의 지휘 아래 많은 가치 있는 논문들이 발표되었다.[4] 그는 1919년, 1923년, 1925년, 1931년에 "소리의 세계", "사물의 본질에 관하여", "옛 직업과 새로운 지식", "생명의 우주"를 주제로 왕립 연구소 크리스마스 강연을 했다.[23]2. 7. 왕립 학회 및 제2차 세계 대전
1935년, 브래그는 왕립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24] A. V. 힐이 생물학 담당 서기였고, A. C. G. 에거턴이 물리학 담당 서기가 되었다.[26] 제1차 세계 대전 중 세 사람 모두 기술이 전쟁에 사용되기 전까지 수개월 동안 좌절감을 느껴야 했다. 이후 지난 전쟁에서 얻은 교훈에 대한 고위급 육군 위원회의 보고서에 따라 과학 발전이 강화되었다. 그들의 첫 번째 권고는 "현대 과학 발전을 따라잡는 것"이었다.[26]다가올 전쟁을 예상하여 노동부는 과학 인력 자문으로 힐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했다. 왕립학회는 자격을 갖춘 인물들의 명부를 작성했다. 그들은 제국 방위 위원회에 자문할 과학 관련 소규모 위원회를 제안했지만, 이는 거절되었다. 마침내 1940년, 브래그의 임기가 끝날 무렵, 전시 내각에 과학 자문 위원회가 임명되었다.
브래그는 영국 침공 시 체포되어 게슈타포에 넘겨질 유명 인사 2,300명 명단에 있는 나치의 특별 수색 명단에 포함되어 있었다.
2. 8. 개인 생활
1889년, 브래그는 애들레이드에서 천문학자이자 기상학자인 찰스 토드 경의 딸 웬들린 토드와 결혼했다.[4][5] 슬하에 딸 웬들린과 아들 윌리엄 로렌스, 로버트를 두었다. 윌리엄 로렌스는 훗날 아버지와 함께 노벨상을 수상한다. 아들 로버트는 갈리폴리 전투에서 전사했다.[32] 1929년, 아내 웬들린이 사망했다.브래그는 테니스와 골프를 즐겼으며, 노스 애들레이드 라크로스 클럽과 애들레이드 대학교 라크로스 클럽의 창립 멤버였다.[32]
1942년, 브래그는 영국에서 사망했다.
3. 업적 및 평가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X선 분광기(X-ray spectrometer)를 발명하고, 아들 윌리엄 로렌스 브래그와 함께 X선 결정학(X-ray crystallography)을 창시했다.[20] X선 결정학은 X선 회절을 이용해 결정 구조를 분석하는 새로운 과학 분야였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브래그는 발명 및 연구 위원회에 임명되어 전쟁 수행에 기여했다.[4] 그는 해군과 협력하여 잠수함 탐지 기술을 개발했다. 브래그는 지향성 수중 청음기를 개발하고, 소나를 실용화하여 잠수함 탐지에 기여했다. 또한, 윌리엄 로렌스가 고안한 음향 측정 방법을 개선하여 적 포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에도 기여했다.[21]
1923년부터 왕립 연구소의 풀러리안 화학 교수이자 데이비 패러데이 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며 연구 환경을 개선하고 많은 과학적 성과를 이끌어냈다.[22] 1935년부터 1940년까지 영국 왕립 학회 회장을 역임했다.[42]
브래그는 과학 발전과 교육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1917년 대영제국 훈장 사령관(CBE), 1920년 기사 작위 사령관(KBE), 1931년 공로훈장을 받았다.[39] 1962년에는 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애들레이드 대학교에 브래그 연구소가 설립되었다.[39] 1992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 물리학회는 오스트레일리아 대학교 학생들의 가장 우수한 학위 논문에 Bragg Gold Medal을 수여하고 있다.[43]
4. 수상 및 서훈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1907년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20년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1935년부터 1940년까지 왕립학회 회장을 지냈다. 1939년에는 미국 국립과학원의 국제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미국철학회의 국제 회원이기도 했다.[28][29] 1946년 6월 1일 벨기에 왕립 과학·문학·미술 아카데미 회원으로도 선출되었다.
현재 남호주 주 의회의 브래그 선거구는 1970년에 설립되었으며, 윌리엄과 그의 아들 로렌스 브래그 두 사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1. 수상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1915년 아들인 로렌스 브래그와 함께 "X선을 이용한 결정 구조 분석에 대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27]연도 | 상 이름 |
---|---|
1915 | 노벨 물리학상 |
1915 | 마테우치 메달 |
1915 | 베이커리언 메달 |
1915 | 버나드 메달 |
1916 | 럼퍼드 메달 |
1930 | 코플리 메달 |
1930 | 프랭클린 메달 |
1936 | 패러데이 메달 |
1939 | 미국 국립과학원의 존 J. 카티 상[31] |
4. 2. 서훈
5. 유산
킹 윌리엄스 칼리지와 리즈 대학교(University of Leeds), 브루넬 대학교(Brunel University)에는 그의 이름을 딴 건물이 있다. 킹 윌리엄스 칼리지의 6학년 초청 문학 토론회인 브래그 협회(Bragg Society)와 레스터의 마켓 해러보로(Market Harborough)에 있는 로버트 스미스 스쿨(Robert Smyth School)의 기숙사 중 하나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92년부터 호주 물리학 연구소(Australian Institute of Physics)는 호주 대학교 학생의 최고 박사(PhD) 논문에 대해 물리학 우수성 브래그 금메달(The Bragg Gold Medal for Excellence in Physics)을 수여해 왔으며, 메달 양면에는 윌리엄 헨리 경과 그의 아들 로렌스 브래그 경의 이미지가 새겨져 있다.[33] 애들레이드 대학교(University of Adelaide)에는 1962년 윌리엄 H. 브래그 경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브래그 연구소(Bragg Laboratories)가 건설되었다.[4] 2023년 말에는 호주 브래그 양성자 치료 및 연구 센터(Australian Bragg Centre for Proton Therapy and Research)[35]가 완공되어 암 환자를 위한 방사선 치료를 제공한다.
1917년 대영제국 훈장 사령관(CBE), 1920년 기사 작위 사령관(KBE), 1931년 공로훈장을 받았다.[39]
6. 주요 저서
- ''X선과 결정 구조'' (1915, 윌리엄 로렌스 브래그와 공저)
- ''소리의 세계'' (1920)
- ''결정 상태'' (1925)
- ''사물의 본질에 관하여'' (1925)
- ''옛 직업과 새로운 지식'' (1926)
- ''결정 분석 입문'' (1928)
- ''빛의 우주'' (1933)
참조
[1]
일반텍스트
[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15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08-10-09
[3]
학술자료
[4]
간행물
Dictionary of Australian Biography
2008-10-07
[5]
간행물
Bragg, Sir William Henry (1862–1942)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2008-10-07
[6]
뉴스
The New Elder Professor of Mathematics.
http://nla.gov.au/nl[...]
1885-12-18
[7]
일반텍스트
http://www.physics.a[...]
[8]
뉴스
THE ADELAIDE UNIVERSITY.
http://nla.gov.au/nl[...]
1886-01-15
[9]
뉴스
RONTGEN PHOTOGRAPHY UNSUSPECTED.
http://nla.gov.au/nl[...]
1896-05-30
[10]
논문
100 Years of X-Rays – the South Australian Connection
1996-00-00
[11]
서적
The Man in the Monkeynut Coat: William Astbury and the Forgotten Road to the Double-Helix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2]
뉴스
PUBLIC TEACHERS' UNION.
http://nla.gov.au/nl[...]
1897-09-22
[13]
뉴스
SECOND DAY.
http://nla.gov.au/nl[...]
1897-09-25
[14]
뉴스
THE LATE MR. MCPHERSON.
http://nla.gov.au/nl[...]
1897-12-15
[15]
뉴스
ASTRONOMICAL SOCIETY.
http://nla.gov.au/nl[...]
1899-05-11
[16]
뉴스
RETURN OF PROFESSOR BRAGG.
http://nla.gov.au/nl[...]
1899-03-06
[17]
뉴스
WIRELESS TELEGRAPHY.
http://nla.gov.au/nl[...]
1899-05-15
[18]
뉴스
WIRELESS TELEGRAPHY.
http://nla.gov.au/nl[...]
1899-09-28
[19]
뉴스
THE WARATAH. A PROFESSOR'S ALARM: SAVED BY A VISION. MISS HAY WARNED.
http://nla.gov.au/nl[...]
1911-01-20
[20]
학술지
Structural biology: How proteins got their close-up
https://knowablemaga[...]
2022-03-01
[21]
서적
Great Scientists wage the Great War
Fonthill
2014
[22]
웹사이트
William Henry Bragg (1862–1942)
https://web.archive.[...]
[23]
웹사이트
IUCr
https://www.iucr.org[...]
2019-07-07
[24]
학술지
William Henry Bragg. 1862-1942
[25]
서적
Great Scientists wage the Great War
2014
[26]
서적
Great Scientists wage the Great War
2014
[27]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15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18-04-26
[28]
웹사이트
William Bragg
http://www.nasonline[...]
2023-05-03
[29]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5-03
[30]
간행물
London Gazette
1920-03-30
[31]
웹사이트
John J. Carty Award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32]
웹사이트
Bragg Centenary, 1886–1986
http://www.physics.a[...]
[33]
웹사이트
Bragg Gold Medal for Excellence in Physics
http://www.aip.org.a[...]
Australian Institute of Physics
[34]
웹사이트
Sir William Henry Bragg Building is now open - Estates and Facilities
https://estates.leed[...]
2021-10-15
[35]
웹사이트
Australian Bragg Centre for Proton Therapy
https://www.australi[...]
2020-08-22
[36]
웹사이트
Bragg on the Braggs
https://www.leeds.ac[...]
2017-03-02
[37]
웹사이트
BBC Radio 4 - Bragg on the Braggs
https://www.bbc.co.u[...]
[38]
Venn
[39]
서적
Dictionary of Australian Biography
http://gutenberg.net[...]
2008-10-07
[40]
서적
Bragg, Sir William Henry (1862-1942)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2008-10-07
[41]
웹사이트
Bragg Centenary, 1886-1986
http://www.physics.a[...]
University of Adelaide
1885-10-16 # Oxford University Gazette 날짜를 우선 사용
[42]
FRS
Bragg; Sir; William Henry (1862 - 1942)
2011-12-11
[43]
웹사이트
Bragg Gold Medal for Excellence in Physics
http://www.aip.org.a[...]
Australian Institute of Physics
2009-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